개발새발/Spring

220223_스프링 입문_스프링을 조금 더 들여다보기_ObjectMapper_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1일차

막동이아빠 2022. 2. 23. 23:14

220223_스프링 입문_스프링을 조금 더 들여다보기_ObjectMapper_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1일차

<2022년 02월 23일 _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1일차>

[스프링 입문_스프링을 조금 더 들여다보기_ObjectMapper]

1. Object Mapper

 : JSON 형식을 사용할 때, 응답을 직렬화, 또는 요청을 역직렬화 할 때 사용한다

 

2. 직렬화 Serialize

 :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바이트 문자열 이어야 하므로, 객체들을 문자열로 바꾸어 줌

 : Object -> String

 

3. 역직렬화 Deserialize

 : 데이터가 모두 전송 되고, 수신측에서 문자열을 다시 기존의 객체로 회복시켜 주는 것

 : String -> Object

 

4.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

 : "key" : "value"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한, 사람이 가독 가능한 텍스트를 사용하는 형식format

 : 자바스크립트로부터 파생되었으나, 플랫폼/언어 독립형 데이터 형식

 : C, 자바, 파이썬등에서 JSON 데이터 생성을 위한 코드를 가지고 있으나, js가 아니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할 수 있다

 

31일차 강의 완료~

 

추가 참고 블로그: https://escapefromcoding.tistory.com/341

 

ObjectMapper

ObjectMapper란? JSON 형식을 사용할 때, 응답들을 직렬화하고 요청들을 역직렬화 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. (*여기서 다소 생소한 JSON 형식, 직렬화, 역직렬화를 잠깐 살펴본다.) JSON(Javascript Object Notat

escapefromcoding.tistory.com

 

 

필기 & 내 화면 스크린샷 저장

https://bit.ly/37BpXiC

 
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
fastcampus.co.kr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