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S, JS 연결
: ~.html 이라는 파일이 어떤 내용을 가져와서 사용할 것인지 또한 정보이다.
: 그렇다면? 정보는 <head>태그 안에 명시된다.
<link>태그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/main.css ">
: link태그가 head 태그 안에 작성되어 main.css의 내용을 index.html이 사용한다
<script>태그
<script src="./main.js"></script>
: script태그가 head 태그 안에 작성되어 main.js의 내용을 index.html이 사용한다.
: 지금과 같은 경우엔 크롬브라우저에서 F12를 누르면 나오는 개발자도구의 Console 창에서 'MAKZUIN!' 글자를 확인 가능하다.
lang(language)
<html lang="en">
<html lang="ko">
: 지정할 문서의 언어(ISO 639-1)를 명시하는 HTML속성
: 지정 가능한 언어목록 링크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ISO_639-1_코드_목록
ISO 639-1 코드 목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ISO 639는 언어 분류를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명명법이다. 각 언어는 2글자(639-1) 및 3글자(639-2, 639-3)로 할당된다. 어족 ISO 언어 이름 네이티브 이름 639-1 639-2/T 63
ko.wikipedia.org
<전체 소스>
index.html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\, initial-scale=1.0">
<title>Document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/main.css ">
<script src="./main.js"></script>
</head>
<body>
<div>Hello world!</div>
</body>
</html>
main.css
div {
color: red;
font-size: 100px;
}
main.js
console.log('MAKZUIN!');
'개발새발 > 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일차_페이지 나누고 연결(링크)하기_20210628 (0) | 2021.06.28 |
---|---|
3일차_상대 경로 그리고 절대 경로_20210624 (0) | 2021.06.24 |
3일차_화면에 이미지 출력_20210624 (0) | 2021.06.24 |
2일차_정보를 의미하는 태그들_20210623 (0) | 2021.06.23 |
2일차_Doctype(DTD), HTML, HEAD, BODY_20210623 (0) | 2021.06.23 |